충남도가 최근 사회적 여건 변화와 기반시설 노후화 등으로 애로를 겪고 있는 도내 농공단지의 체질개선에 팔을 걷고 나섰다.
도는 14일 ‘농공단지 종합관리지원계획’을 수립하고 농공단지의 특화단지 중심 재구조화와 노후기반시설 개선 등을 단계별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도에 따르면 이번 계획은 도내 90개 농공단지를 대상으로 추진되는 것으로 ▲특화단지 육성 ▲인력확보 지원 ▲산업기반시설 정비 강화 ▲공동인프라 확충 ▲기업경영 지원 ▲농공단지활성화 제도 기반 구축 및 개선 등 6개 중점 추진과제로 구성됐다.
도는 이번 계획 수립에 앞서 지난해 12월 3일 열린 농공단지 정책토론회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45일간 입주기업인 면담 및 서면조사 등 농공단지 진단평가를 실시했다.
진단평가 결과 농공단지 입주기업인들은 애로사항으로 오폐수처리시설 등 기반시설의 노후화(52%), 인력(11%), 용수(9%), 교통(8%) 등을 꼽았다.
도는 진단평가를 바탕으로 농공단지 종합대책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계기관과 입주기업인 등 의견수렴, 전문가 자문을 통해 농공단지 종합관리지원계획을 수립했다.
이번 계획을 세부적으로 보면 기존 농공단지에 대해서는 산업시설 용지에 지원.상업.주거시설 등의 중복설치를 허용하는 복합용지 제도를 활용해 체질을 개선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와 함께 도는 단지별로 취업도우미(상담사)를 배치해 입주기업의 애로상담과 취업알선을 지원하는 한편, 도 농공단지홈페이지를 통해 은퇴자 맞춤형 인력풀 코너를 운영하는 등 인력지원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수행해 나가기로 했다.
오폐수시설 시설 개.보수비를 예산 지원하는 방안을 환경부 등에 건의하고, 근로자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농공단지 관리사무소 리모델링, 농공단지 시내·전세버스 운행 지원 등 공동인프라 확충 지원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 입주기업의 경영 지원을 위해 도는 농공단지 홈페이지 콘텐츠를 강화하고 ‘충남 Biz-콜센터’를 활용한 경영.판로.홍보 인프라 구축을 통한 마케팅 사업을 적극 지원해 나가기로 했다.
도는 도내 90개 농공단지의 효율적인 관리 및 활성화를 위해 도와 시.군의 조례제정을 추진하는 한편, 단지 내 입주기업의 결속 강화와 공동처리사항을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한 농공단지 입주기업체협의회의 법인설립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이번 계획이 도내 농공단지 경쟁력 제고 및 활성화 기반 구축이라는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상생산단 조성 사업과 연계 추진할 방침”이라며 “도와 시.군, 농공단지 입주기업체협의회 및 지역주민과 협업체계를 구축해 성공적인 농공단지 활성화 시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내 농공단지는 총 90곳(완료 72, 조성중 18)으로 지난해말 기준 953개 업체가 입주해 고용인원 2만 9814명, 생산액 10조 9590억 원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소통' 실시간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령시, 기초市 지방브랜드경쟁력지수 '충남도내 2위' (0) | 2014.05.15 |
---|---|
보령 대천여중 개그맨 고혜성과 함께 '생생스쿨'운영 (0) | 2014.05.15 |
박익규 보령시장 예비후보 불출마 선언 (0) | 2014.05.15 |
서천 김창규 도의원 예비후보 선거사무소 개소 (0) | 2014.05.15 |
김동일 보령시장 예비후보 선거사무실 개소 (0) | 2014.05.15 |